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통계청 ‘2024 한국의 사회 지표’ – 남녀·종교 갈등 50% 넘는다! 사회 갈등 다각화 전망

by 디피리 2025. 3. 26.

 

 

MergeSlime - Google Play 앱

귀여운 슬라임을 합성하여 모든 슬라임을 구출하세요

play.google.com

 

통계청이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 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의 절반 이상이 남녀와 종교 갈등이 심하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보수와 진보 대립, 빈곤층과 중상층 간 갈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며, 한국 사회에 뿌리내린 정치·빈부·노사 갈등과 더불어 새로운 갈등의 전선이 확산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 주요 사회갈등 인식 결과

통계청의 ‘사회갈등 인식률’ 조사 결과, 국민들은 ‘보수와 진보’ 갈등(77.5%), ‘빈곤층과 중상층’ 갈등(74.8%), ‘근로자와 고용주’ 갈등(66.4%)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는 2013년부터 꾸준히 높은 비율을 유지해 온 결과로, 정치 진영 갈등과 빈부격차, 노사 갈등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남녀·종교 갈등의 급증

특히 지난해에는 남녀 갈등과 종교 갈등을 심하게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각각 51.7%와 51.8%에 달해, 전년보다 9.5% 포인트씩 증가했습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남녀 갈등 응답률이 5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년층(19~29세, 30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 사회적 고립감과 소비 지출

이번 조사에서는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국민 비율도 상승하여 ‘외롭다’고 답한 이가 21.1%로,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낀 이 역시 16.2%로 증가했습니다. 한편,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2387만원으로 증가하면서 해외여행 수요 폭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전문가 의견과 향후 전망

성균관대 사회학과 구정우 교수는 이번 결과에 대해 “정부가 청년층 및 특정 계층에 집중하는 정책으로 인해 사회·정치적 갈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며, “불만이 누적되어 갈등의 일상화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사회갈등의 다각화와 심화가 경제와 내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