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국제 추세와 우리 사회의 도전: 노인연령과 정년, 그리고 연금수급

by 디피리 2025. 2. 27.

 

 

MergeSlime - Google Play 앱

귀여운 슬라임을 합성하여 모든 슬라임을 구출하세요

play.google.com

 

최근 정부가 현행 65세 노인 기준을 상향하는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면서, 전 세계 주요 국가들도 정년 및 연금수급 개시 연령 조정에 나서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개최한 '노인연령에 대한 전문가 간담회'에서는 호주,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해외 국가들의 사례가 소개되며, 우리 사회의 미래 고령사회 대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졌습니다.

 

 

🌍 해외 사례와 변화하는 정년제도

해외 주요 국가들은 이미 기존의 정년 제도를 폐지하거나 상향 조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호주는 정년퇴직 제도를 폐지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연금수급 연령을 67세로 적용하는 등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영국 역시 2011년 정년을 폐지하고, 특정 특수직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직종에서 정년이 없어졌으며, 2028년까지 연금수급 연령을 67세로 상향 조정하는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독일, 프랑스, 일본의 노인연령 및 연금수급 정책

독일은 2031년까지 법정 연금수급 개시 연령을 67세로 연장할 계획이며, 프랑스는 정년을 62세에서 64세로, 연금수급 연령도 2년 상향하여 64세로 조정하는 개혁을 추진 중입니다.

 

일본 역시 고령자 기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활발히 진행 중으로, 65세에서 75세로 고령자 정의를 재설정하자는 목소리와 함께, 공무원 정년 상향 및 고용확보조치 등 다양한 제도 개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국내 논의와 제도적 변화의 필요성

정부는 지난 1월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노인연령 조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준비하였으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해외 사례를 토대로 우리 사회에 맞는 고령사회 대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노인 연령을 단순히 나이로 규정하기보다는, 제도적 환경 속에서 유연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개인의 의욕과 능력을 고려한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 결론: 미래를 대비하는 고령사회 정책

현재 진행 중인 노인연령 및 정년, 연금수급 연령 조정 논의는 우리 사회의 미래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해외 사례와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여, 우리도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유연한 노인 정책을 마련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