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결정적 분기점이 될 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 이루어질 법안과 정책 결정들은 2030년과 2050년 탄소감축 목표 달성 여부를 좌우할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2025년이 왜 기후변화 대응의 골든타임인지, 그 이유 세 가지를 살펴봅니다.
⏳ 1️⃣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2026년이 데드라인!
탄소중립기본법은 한국 기후정책의 최상위법으로, 2025년에 반드시 개정되어야 합니다. 헌법재판소는 이 법의 일부 조항이 헌법에 맞지 않다며 2026년 2월까지 개정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현행법은 2030년까지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고, 2050년에는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목표만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31년~2049년까지의 정량적 목표는 명시하지 않아 미래세대의 환경권을 침해한다고 판결났습니다.
- 문제점: 2030년 이후 감축 경로가 불명확.
- 해결책: 과학적 근거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명확한 목표를 설정.
- EU 사례: 유럽연합은 2040년까지 1990년 대비 90% 감축 목표를 발표.
전문가들은 "한국의 경제 상황과 배출량에 맞춘 '정교한 탄소 감축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2️⃣ 2035년 NDC 제출: 국제사회와의 약속 이행
2025년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따라 2035년 국가 탄소배출 감축목표(NDC)를 제출해야 하는 해입니다. 한국은 198개 당사국 중 하나로, 국제사회와 약속한 '5년마다 목표 상향'을 이행해야 합니다.
- 영국 사례: 2035년 목표를 1990년 대비 81% 감축으로 상향.
- 브라질과 UAE: 이미 2035년 NDC 목표 발표 완료.
내년 말 브라질에서 열릴 COP30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기후 회의가 될 예정입니다. 특히, 한국도 이 자리에서 국제적 리더십을 보여줘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또한,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국제사법재판소(ICJ) '기후 청문회' 결과가 내년 초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는 한국의 기후 책임 강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 3️⃣ 배출권거래제 계획 확정: 2030년까지의 청사진 마련
2025년은 정부가 2026~2030년 배출권거래제 운영 계획을 확정하는 해이기도 합니다. 이 제도는 각 기업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할당하고, 초과 배출 시 배출권을 구매하도록 유도해 민간의 자발적 탄소 감축을 촉진하는 정책입니다.
- 현재 대상: 685개 기업,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73.5%를 차지.
- 문제점: 팬데믹 이후 배출량 대비 할당량 과다, 낮은 배출권 가격.
- 핵심 과제: '공짜 배출권'(90%) 비중 축소 및 시장 가격 정상화.
정부는 올해 말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내년 6월 각 기업에 할당되는 배출권 수량 등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이는 2030년 탄소감축 목표 달성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 2025년, 기후변화 대응의 마지막 기회
전문가들은 2025년이 기후변화 대응의 골든타임이라며, 이를 놓치면 2030년과 2050년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배출권거래제,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NDC 제출 등은 단순한 환경정책이 아니라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입니다.
유승직 숙명여대 교수는 "내년은 기후변화 대응에서 새로운 도약을 이룰 마지막 기회"라며 "경제주체들이 장기적 투자와 탄소 감축 기술을 채택할 수 있는 명확한 신호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기후변화는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 KAIST의 혁신적인 암 치료 기술 공개 (2) | 2024.12.22 |
---|---|
🌍 "전 세계 코인의 60%를 노린다"…韓·美, 북한 해커 추적 공조 강화 🔒 (3) | 2024.12.22 |
🇰🇷 정용진 신세계 회장, 트럼프와 만남 성사! "식사하며 심도 있는 대화" 🍴 (1) | 2024.12.22 |
🚧 2030이 기피하는 건설업, 고령화의 그림자 🌆 (1) | 2024.12.22 |
💸 대한민국 부자의 새로운 얼굴: 금융자산 10억 이상 부자 46만 명 돌파 💎 (4)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