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국산 게임코인 부진, 넥스페이스·위믹스·마브렉스 등 시세 약세 지속 🎮💸

by 디피리 2025. 5. 25.

 

 

MergeSlime - Google Play 앱

귀여운 슬라임을 합성하여 모든 슬라임을 구출하세요

play.google.com

비트코인(BTC)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며 주요 알트코인들이 상승 흐름을 타는 와중에, 국내에서 발행된 게임코인들은 여전히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넥슨의 넥스페이스(NXPC), 위믹스(WEMIX), 넷마블의 마브렉스(MBX), 그리고 컴투스홀딩스의 엑스플라(XPLA)가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습니다.

 

넥스페이스(NXPC), 상장 초기 급락 후 반등 시도 📉➡️📈

넥슨의 블록체인 게임 ‘메이플스토리N’에서 아이템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넥스페이스 코인은 상장 직후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15일 업비트 상장 당시 시가 4,352원에서 21일에는 2,500원까지 40% 이상 하락했으나, 주말을 지나 반등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코인은 아랍에미리트(UAE) 자회사인 넥스페이스가 발행했으며, 바이낸스, 업비트, 빗썸 등 국내외 거래소에 동시 상장되어 큰 주목을 받았으나, 대규모 에어드랍 물량과 네트워크 출금 지연 문제가 가격 급락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에어드랍으로는 바이낸스 3,000만 개, 업비트 400만 개, 빗썸 50만 개가 풀렸습니다.

위믹스(WEMIX), 상장 폐지 임박에 약세 지속 🚫

국내 거래소에서 내달 2일 상장 폐지 예정인 위믹스는 500원대에 머무르며 지난 2일 상폐 확정 발표 이후 40% 이상 급락, 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위메이드는 거래소들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으나, 시장 반응은 냉담한 상태입니다.

 

마브렉스(MBX)와 엑스플라(XPLA), 가격 회복 난항 ⏳

  • 넷마블의 마브렉스는 3년 전 빗썸 상장 당시 5만 원대였으나 현재는 200원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 컴투스홀딩스의 엑스플라도 2023년 초 1,200원대에서 현재 50원대까지 급락해 거래가 활발하지 않습니다.

국산 게임코인 부진의 배경과 향후 전망 🔒🎮

국내에서 게임 가상자산을 통한 수익 실현과 현금 전환이 법적으로 제한되면서 P2E(Play-to-Earn) 게임 서비스가 막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게임 업계는 정부에 P2E 게임 국내 서비스 허용을 지속적으로 요구 중입니다.

 

그러나 정부와 정치권은 급격한 시세 변동에 따른 투자자 피해 우려, 일부 코인의 유통량 과다와 해킹 사건 등 문제로 규제 완화에 신중한 입장입니다. 이번 대선에서도 관련 공약이 부재해 당분간 규제 완화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가상자산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게임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와 활용성 개선이 병행된다면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국산 게임코인의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도 블록체인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 요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관련 소식과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주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