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노동연구원 보고서: 55세 이상 임금근로자, 평균 소득 60% 수준… 정년 연장이 효과적!

by 디피리 2025. 3. 30.

 

 

MergeSlime - Google Play 앱

귀여운 슬라임을 합성하여 모든 슬라임을 구출하세요

play.google.com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고령 저소득 노동 실태와 정책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55세 이상 임금근로자 중 약 33.0%가 OECD 기준에 따른 저임금(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9년(30.9%)과 2021년(30.2%)보다 각각 2.1, 2.8%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 조사 개요 및 주요 통계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18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가구주 3,31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한부모가족의 평균 순자산액은 약 1억 1천여만 원, 평균 채무액은 4천72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체 임금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023년 기준 20.2%로 확인되었습니다.

 

 

 

 

💼 소득원과 비용 부담

한부모가족의 소득원은 주로 '본인 근로소득'(78.5%)이며, 정부 지원(14.9%), 가족·친지의 도움(4.5%), 전 배우자의 양육비(1.7%) 등이 뒤를 잇습니다. 주거비 마련과 생활비 부담이 빚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 고령 저임금 근로자의 실태

특히 55세 이상 근로자들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분야 등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임금 인상률을 보이고 있으며, 70세 이상의 저소득 근로자 비중은 80% 이상에 달합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중소득 및 고소득 근로자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저소득 근로자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정책 대응 및 제언

보고서는 “한국의 노후 소득보장제도를 고려하면, 고령 근로자가 필요한 수준의 노동소득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년 연장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재고용 및 재취업 지원도 소득 감소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고령 저소득 근로자들의 실태와 소득 격차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며, 정년 연장과 함께 재취업 지원 등 맞춤형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