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치명적인 대가를 부르다

by 디피리 2024. 11. 8.

 

최근 서울 한복판에서 배달 오토바이가 택시를 잡으려던 행인과 충돌해

두 사람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이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줍니다.

🚨 사건 개요: 늦은 밤 도심에서 벌어진 비극

 

지난달 23일 새벽, 서울 용산구 청파동 도로에서 20대 배달 오토바이 운전자 B 씨가

60대 남성 A 씨와 충돌하며 두 사람 모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A 씨는 회식을 마치고 귀가하려 택시를 잡던 중이었고, B 씨는 배달 업무 중이었습니다.

 

🔍 CCTV 속 장면, 사고 원인은 휴대전화 사용?

 

사고 당일 현장을 확인한 A 씨의 유족들은

CCTV를 통해 운전자가 주행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배달 오토바이의 과속까지 확인되면서 사고 위험이 더욱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찰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한 관계로 ‘공소권 없음’으로 처리할 예정이나,

사고 원인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 교통사고 원인의 55.9%가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교통사고 19만8천 건 중

약 11만 건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에 해당했습니다.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전방 주시 태만 등으로 인한 사고가 여전히 빈번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전문가의 경고: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음주운전보다 위험할 수도?

 

법무법인 위드로의 김경한 변호사는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은 주의력 분산을 유발해

음주운전보다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재원 한국도로교통공단 교수 역시

“휴대전화 사용으로 전방 주시에 소홀해지는 순간 사고 위험이 급증한다”며,

처벌 수위를 현행의 2~3배로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현실적인 문제: 강화된 규제에도 낮은 준수율

 

현재 법적으로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은 금지돼 있으며,

위반 시 벌점 15점과 최고 7만 원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그러나 배달기사들은 '콜'을 잡기 위해 여전히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기기 사용 금지 준수율이 2022년 58.23%에서 2023년 61.07%로 소폭 증가했으나,

2020년의 64.08%보다는 낮은 상태입니다.

 

🚧 교통 안전 강화를 위한 개선 방향

 

이번 사고는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다시금 상기시켜 줍니다.

 

운전자는 물론 배달기사들도 절대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법적 처벌 강화와 더불어 경각심 고취가 필요합니다.

 

도로 위 안전을 지키기 위해 우리 모두가 작은 주의를 기울일 때, 비극적인 사고는 줄어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