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드라마보다 예능 콘텐츠에 집중하면서 새로운 반전을 꾀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넷플릭스의 드라마 제작은 주연급 배우들의 출연료 상승을 불러오며, 방송계 전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전에는 회당 1억 원 정도였던 출연료가 이제는 3억~4억 원이 기본이 되면서 드라마 제작비가 크게 상승했고, 이로 인해 방송사들이 드라마 제작을 축소하는 상황까지 이르렀습니다.
이와 달리, 넷플릭스는 최근 예능 콘텐츠로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요리 경연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은 방영 직후부터 큰 인기를 끌며, 비영어권 TV 시리즈 부문에서 380만 뷰를 기록해 1위에 올랐습니다. 또한 TV-OTT 통합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며 넷플릭스의 올해 가장 성공적인 오리지널 콘텐츠로 자리 잡았습니다.
넷플릭스는 이 기세를 이어 예능 콘텐츠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더 인플루언서', '신인가수 조정석', '코미디 리벤지', '좀비버스: 뉴 블러드', '최강 럭비' 등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이 줄줄이 대기 중입니다. 또한 '솔로지옥4', '대환장 기안장', '데블스 플랜2' 등 인기 예능 프로그램들도 새 시즌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특히 '솔로지옥'은 넷플릭스 예능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으로, 이전 시즌이 글로벌 TV쇼 부문 상위권을 차지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유기환 넷플릭스 디렉터는 "예능 콘텐츠는 한국 시청자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제작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부문에서는 넷플릭스가 점차 힘을 잃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올해 공개된 '경성 크리처2', '지옥2', '오징어게임2'와 같은 기대작들이 대기 중이지만, '더 에이트 쇼', '돌풍', '로기완', '닭강정' 등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들이 흥행에 실패하면서 이용자들의 실망을 샀습니다.
오히려 기존 방송사에서 구매한 작품인 '눈물의 여왕'이 더 좋은 성과를 내며, 넷플릭스의 드라마 라인업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요금은 여전히 비싼데도 불구하고 콘텐츠 부족을 호소하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난 1년 동안 넷플릭스 월 이용자 수는 200만 명이나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넷플릭스가 예능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의 성과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 박지아, 향년 52세로 별세…'더 글로리'에서 강렬한 연기 남긴 채 떠나다 (4) | 2024.09.30 |
---|---|
이시영, 독도 방문 사진에 일본 네티즌 악플 세례…한국 팬들 강력 지지 (3) | 2024.09.30 |
다이소, 저가 화장품으로 급성장…올리브영에 도전장 내밀다 (2) | 2024.09.30 |
김호중, 교통사고 및 증거인멸 혐의 인정... '정신 차리고 바르게 살겠다' 다짐 (0) | 2024.09.30 |
뉴진스 하니, 직장 내 괴롭힘 논란으로 국정감사 참고인 출석 예정 (15)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