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by 디피리 2024. 10. 14.

 

가을 결혼식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하객들이 축의금 문제로 고민에 빠지고 있습니다. 고물가 속에서 결혼식장 식대가 비싸지면서, 축의금을 얼마나 내야 할지 애매한 상황입니다. 특히, 서울 기준 결혼식장 식대는 7~8만 원으로 알려져 있어, 하객들의 부담이 더욱 커졌습니다.

 

📊 평균 축의금은 얼마?

신한은행의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을 경우 평균 축의금 8만 원, 참석할 경우에는 평균 11만 원을 내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호텔에서 예식이 열릴 경우, 축의금은 평균 12만 원까지 올라갑니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5만 원을 주면 적자일까 봐 더 줘야 할 것 같다", "내가 생각한 금액과 상대방이 기대하는 금액이 다를까 봐 걱정된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000000000000000000

 

 

🎩 축의금의 기원은?

우리나라의 축의금 문화는 조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현금이 아닌 쌀과 무명 같은 현물로 결혼을 축하했습니다. 그러나 도시화와 함께 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현물이 현금으로 대체되었고, 이러한 현금 축의금 문화가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1969년에는 정부가 허례허식을 줄이기 위해 축의금을 금지하기도 했지만, 유명무실해졌습니다.

 

 

🔄 축의금의 사회적 역할

축의금은 예비 부부를 축하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숙명여대 신석하 교수는 축의금을 "사적 보험"이라고 설명하며, 결혼식 비용을 분담하는 형태로 축의금이 자리잡았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액수를 정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00000000000000000

 

 

 

🌍 다른 나라의 결혼 축하 문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결혼식에 금전적 선물을 주는 전통이 있습니다. 중국은 홍바오, 일본은 고슈기라는 봉투에 돈을 담아 신랑 신부에게 전달합니다. 반면, 미국과 유럽은 현금 대신 신혼부부가 필요한 물품을 선물로 주는 레지스트리 문화가 일반적입니다.

축의금 문화는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르지만, 그 본질은 결혼을 축하하는 마음입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물가 상승과 경제적 부담이 커지면서 축의금 액수를 정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하객과 예비 부부 모두에게 기쁨만 남을 수 있는 축의금 문화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