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남한을 향한 발걸음, 자유를 찾는 북한 여성들"

by 디피리 2024. 9. 7.

최근 북한 여성들의 탈북 현상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통일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한국으로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105명 중 95명이 여성으로, 전체의 90.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1998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여성 비율이 90%를 넘어선 기록이며, 북한 여성들이 자유와 더 나은 삶을 찾아 한국으로 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과거 북한 여성들의 탈북은 주로 생존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1990년대 북한 대기근 시기에는 여성들이 굶주림을 피하기 위해 국경을 넘는 일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탈북은 단순히 생계를 위한 것이 아니라 억압된 사회에서 벗어나 자유를 추구하는 목적이 강합니다. 특히, 남성 중심의 북한 체제에서 소외된 여성들이 변화된 세상에서 자립적인 삶을 살기 위해 한국으로 오는 경향이 커졌습니다.

 

여성 탈북이 증가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북한에서 여성들이 제도권 밖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탈북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주로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여성들은 국가의 감시망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탈출할 기회가 많습니다. 특히 최근 MZ세대 여성들은 북한 내에서도 경제활동을 경험한 경우가 많아, 억압적인 체제에서 벗어나 더 자유롭고 독립적인 삶을 찾고자 한국으로 향합니다.

탈북한 북한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더 많은 수가 한국에 정착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한국에 체류 중인 북한이탈주민 3만4183명 중 여성은 2만4631명으로, 남성보다 훨씬 많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에서 여성 탈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도 김정은 정권 이후 강화된 탈북 단속이 주로 남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남성들은 주로 국가의 경제 활동과 정치적 역할에 깊이 관여되어 있기 때문에 탈북이 더 어려운 반면,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사회적 통제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탈출이 더 수월한 경향이 있습니다.

 

탈북 여성들의 증가는 한국 내 경제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2008년 49.6%에서 2023년 63.4%로 증가했습니다. 이들은 생계급여 수급 비율이 크게 줄어들며 자립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탈북민 정착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1월, ‘북한이탈주민의 날’ 제정을 제안했으며, 7월 14일을 법정 기념일로 지정했습니다. 이 날은 1997년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정착 지원 정책이 마련된 법률이 시행된 날입니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서 겪는 경제적 어려움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남북하나재단이 발표한 실태 조사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의 월평균 임금은 245만7000원으로 일반 임금 근로자보다 약 55만 원 적습니다. 특히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가 두드러지며, 남성 탈북민의 임금은 일반 남성 임금 근로자의 95.2% 수준인 반면, 여성은 89.5%에 불과합니다. 고용률 역시 여성 탈북민은 남성보다 낮은 편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탈북민 지원 예산을 늘리고 있습니다. 2025년도 통일부 예산안에 따르면, 탈북민 정착 지원 예산이 808억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기본금도 1인당 1000만 원에서 1500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통일부는 탈북민들의 정착 지원과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다차원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북한 여성들의 탈북 증가는 단순한 생존을 넘어서 자유와 자립을 향한 선택임을 보여줍니다. 이들의 한국 정착 과정에서 겪는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