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 알뜰폰 사업, 전파사용료 부담으로 줄도산 위기

by 디피리 2025. 1. 4.

 

2025년부터 전파사용료가 알뜰폰(MVNO) 사업자들에게 부과되며, 중소규모 사업자들이 생존 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도매대가 협상 체계 변경, 정보보호 인증 의무화 등 여러 변수가 겹치며 알뜰폰 시장이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 올해부터 전파사용료 부과, 무엇이 달라지나?

정부는 올해부터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전파사용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엔 20%를 부담하며, 2026년엔 50%, 2027년부터는 전액을 납부하게 됩니다.

 

전파사용료는 가입자당 분기별 200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감면 계수를 적용해 최종 부담액은 약 1200원 수준입니다. 그동안 정부는 알뜰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이 사용료를 면제해왔지만, 이제 모든 사업자가 부담을 지게 되었습니다.

 

 

 

 

 

 

📉 중소 알뜰폰 사업자, 적자 위기 심화

중소규모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미 영업 적자를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입자 5만 명 이하의 A사는 2023년 약 4200만 원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전파사용료 도입으로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도매대가 협상 부담도 추가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정부가 이동통신사와 적정 도매대가를 협상해왔지만, 올해부턴 알뜰폰 사업자가 직접 협상해야 합니다. 이는 도매대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사업자들에게 더 큰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

📊 형평성 논란: 알뜰폰과 이통사의 다른 현실

업계에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와 동일한 기준으로 전파사용료를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합니다. 이동통신사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은 약 3만 원인데 반해, 알뜰폰은 약 1만5000원으로 절반 수준입니다.

 

한 전문가는 “해외에서는 MVNO 사업자에게 전파사용료를 부과하는 사례가 없다”며, 알뜰폰 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업계의 요구: 전파사용료 차등 부과

알뜰폰 사업자들은 전파사용료를 사업 규모에 따라 차등 부과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물인터넷(IoT) 회선에 대해 전파사용료를 감면하고 있는 현재의 사례를 고려할 때 충분히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알뜰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도매대가 협상에 다시 참여하거나, 사업자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 알뜰폰 시장의 미래,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2025년은 알뜰폰 시장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파사용료 부과, 도매대가 협상, 정보보호 인증 의무화 등 여러 도전 과제가 쌓인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지속 가능한 알뜰폰 시장을 만들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